6 분 소요

12장.창발성은 지금까지 공부해왔던 것을 간략히 정리하는 느낌이었다. 변수, 메서드, 클래스 등 작은 단위를 신경써서 잘 개발한다고 해서 전체적으로 개선 효과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지만, 작은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반복이 전체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와닿았다.


📆TIL(Today I Learned) 날짜

2022.04.16

📑오늘 읽은 범위

12.창발성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단순한 설계 규칙 1 : 모든 테스트를 실행하라
테스트가 불가능한 시스템은 검증도 불가능하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검증이 불가능한 시스템은 절대 출시하면 안 된다. 테스트 케이스를 많이 작성할수록 개발자는 DIP와 같은 원칙을 적용하고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인터페이스, 추상화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결합도를 낮춘다. 따라서 설계 품질은 더욱 높아진다.

단순한 설계 규칙 2 : 중복을 없애라
우수한 설계에서 중복은 커다란 적이다. 중복은 추가 작업, 추가 위험, 불필요한 복잡도를 뜻하기 때문이다. 중복은 여러가지 형태로 표출된다. 똑같은 코드는 당연히 중복이다.
깔끔한 시스템을 만들려면 단 몇 줄이라도 중복을 제거하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소규모 재사용’은 시스템 복잡도를 극적으로 줄여준다. 소규모 재사용을 제대로 익혀야 대규모 재사용이 가능하다.

단순한 설계 규칙 3 : 표현하라
자신이 이해하는 코드를 짜기는 쉽다. 코드를 자는 동안에는 문제에 푹 빠져 코드를 구석구석 이해하니까. 하지만 나중에 코드를 유지보수할 사람이 코드를 짜는 사람만큼이나 문제를 깊이 이해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므로 코드는 개발자의 의도를 분명히 표현해야 한다.
👉🏻우선, 좋은 이름을 선택한다.
👉🏻둘째,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가능한 줄인다.
👉🏻셋째, 표준 명칭을 사용한다.
👉🏻넷쨰, 단위 테스트 케이스를 꼼꼼히 작성한다.
👉🏻하지만, 표현력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노력이다. 흔히 코드만 돌린 후 다음 문제로 직행하는 사례가 너무도 흔하다.

단순한 설게 규칙 4 :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여라
중복을 제거하고, 의도를 표현하고, SRP를 준수한다는 기본적인 개념도 극단에 치달으면 득보다 실이 많아진다. 클래스와 메서드 크기를 줄이자고 조그만 클래스와 메서드를 수없이 만드는 사례도 없지 않다. 그래서 이 규칙은 함수와 클래스 수를 가능한 줄이라고 제안한다.
하지만 이 규칙은 간단한 설계 규칙 네 개 중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궁금한 내용,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

  • 창발성이란?
    • 하위 계층에는 없는 특성이나 행동이 상위 계층이(전체 구조)에서 자발적으로 돌연히 출연하는 현상
    • 각각의 개미는 집을 지을 능력이 없지만, 작은 개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집이라는 결과물이 나온다.
    • 이처럼 작은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반복이 전체 구족에 영향을 미친다.

댓글남기기